-
MPEG-DASH란?카테고리 없음 2019. 8. 7. 10:42
MPEG-DASH의 DASH는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의 약자이다.
약자를 보면 알겠듯이 MPEG-DASH방식으로 인코딩 된 영상은 스트리밍 시에 사용된다.
스트리밍이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. 즉, YOUTUBE, NETFLIX 등과 같이 인터넷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 서비스에 사용되는 기술이다.
현재 YOUTUBE는 MPEG-DASH 방식의 영상을 사용하고 있다. 그래서 이 방식의 장점이 뭘까? 다른 여러 스트리밍 지원을 위한 인코딩 방식들이 있을텐데 왜 유튜브는 이 방식을 사용하는 걸까?
MPEG-DASH는 여러가지 화질의 영상을 미리 만들어 놓는다. 그리고 사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맞는 화질을 보내주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버퍼링 현상을 방지시켜준다.
유튜브에서 영상을 보다가 갑자기 화질이 낮아지는 현상을 경험한 적 있을 것이다. 그건 네트워크 환경이 나빠져서 서버에서 낮은 화질의 영상을 보내줬기 때문이다.
하지만 나처럼 고화질로만 영상을 보고싶은 사람이 있을 수 있다. 이런 상황은 UI에서 무조건 특정 화질로 재생할 수 있는 버튼을 만들어 놓는 방식으로 커버할 수 있다. 현재 유튜브가 그런 방식을 사용중이다.
요고요고 여기서 MPEG의 약자가 궁금한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. MPEG는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약자로, 영상 표준을 만드는 소규모의 그룹이다. 이 그룹에서 만든 스트리밍 표준이 MPEG-DASH인 것이다.
안돼.. 오랜만에 큰맘먹고 쓰러 왔는데 쓸 게 이거밖에 없어.. 담엔 좀 더 채워와야겠다. ㅎ
댓글